상세정보
근현대 일본, 이토 히로부미 후쿠자와 유키치 이마니시 류 아베 신조
미리보기

근현대 일본, 이토 히로부미 후쿠자와 유키치 이마니시 류 아베 신조

저자
탁양현 저
출판사
e퍼플
출판일
2019-08-23
등록일
2020-02-25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27MB
공급사
YES24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近現代 日本


1. 隣接國의 悲劇, 日本을 알아야 韓國이 산다

일본 메이지 시대에 영국과 프랑스의 市民社會가 소개되었으며, 영국에서 功利主義와 社會的 多元主義가, 프랑스에서 ‘장자크 루소’의 大衆統治와 社會契約論이 소개되었다.
‘메이지 시대(明治時代)’는 ‘메이지 維新’ 이후, ‘메이지 天皇’의 통치시대를 가리키는 명칭이다.
1868년 1월 3일, 王政復古大號令에 의해 메이지 政府가 수립된 후, 1912년 7월 30일 메이지 천황이 죽을 때까지, 44년간이다. 메이지 천황의 즉위는, 메이지 유신 1년 前인 1867년 2월이다.
이는, 일본제국의 전반기에 해당되는 時期이며, 메이지 유신부터 辛亥革命 종결까지의 시기와 일치한다.
‘메이지(明治)’는 易經 說卦傳 4장의, “성인은 남쪽을 향하고, 천하의 의견을 들으며, 밝음을 지향하여 다스린다.(聖人南面, 而聽天下, 嚮明而治.)”에서 따온 글자이다.
메이지 年間의 政治體制는 크게 2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메이지 정부의 시기(1868~1890), 둘은 일본 帝國憲法 시행 이후(1890~1912)이다. 메이지 정부는 日本帝國의 초기 정부이다.
메이지 시대의 대외관계에서 특징적인 요소는, 기존 서양 제국주의 세력과의 不平等條約 철폐에 대한 執念을 불태우는 것이다.
일본의 帝國主義 외교의 시작은, 메이지 유신의 일본제국의 성립이다. 1868년부터 1911년까지 메이지 시대는, ‘도쿠가와 막부’가 체결한 불평등 조약을 상속했으며, 또한 불평등조약이 全廢하였다.
‘에도 막부(江戶幕府)’ 또는 ‘도쿠가와 막부(?川幕府)’는, 日本史에서 ‘가마쿠라 막부’, ‘무로마치 막부’에 이어, 세 번째로 나타난 최후의 막부이다.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가마쿠라’에 설치한 막부이다.
일설에 의하면, 가마쿠라 막부는, 1192년(겐큐建久 3년)에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征夷大將軍으로 임관되어 시작되었다고 여겨지고 있었지만, 요리토모의 권력·통치 기구는 그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어, 현재는 실질적인 성립은, 1185년이었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또, 일본에서 첫 번째 武士政權이라고 여겨진 적도 있었지만, 지금은 ‘헤이케 정권’의 뒤를 잇는 무사정권으로 자리 매김되고 있다.
征夷大將軍은 일본의 令外官 將軍職 중 하나이다. 줄여서 將軍(쇼우군), 公方(구보), 大樹將軍(다이주쇼군), 御所(고쇼) 등으로 불렸다.
‘나라 시대’, ‘헤이안 시대’에는, 동쪽 지역 에미시 정벌을 위해 파견된 장군의 명칭이었는데, 가마쿠라 시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賴朝)’에 의해 막부의 首長이자 東國武士團의 棟樑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고, 이 직책은 武家 棟樑家門이 대를 이어 계승하는 경향이 생겼다.
이미 조정을 통제하고, 무가를 거느리는 일본의 실질적 통치자를 의미하는 직책이 되었으며, 외국에서는 정이대장군을 국왕으로 간주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에도 시대’까지 최고권력자의 직책으로 존재하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폐지되었다.
征夷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 이 직책은 동쪽의 오랑캐, 즉 ‘에미시’를 혼슈의 동쪽 방면으로 정벌할 때 임명된 장군이다.
‘에미시(蝦夷)’ 또는 ‘에비스(えびす)’ 또는 ‘에조(えぞ)’는, 일본 혼슈의 간토 지방, 도호쿠 지방과 홋카이도 지역에 살면서, 일본인(야마토 민족)에 의해 이민족시 되었던 민족집단을 일컫는 말이다.
시대에 따라 그 지칭범위가 다른데, 일반적으로 근세의 에조는, 특히 아이누민족을 일컫는다. 에조는 일본 동부, 북부 지역 뿐만 아니라, 쿠릴 열도, 사할린, 심지어는 캄차카 지방까지 정착해 살았다.
‘에조’는 옛날에는 毛人으로 표기하고, ‘에미시(えみし)’로 읽었다. 후에는 ‘에비스(えびす)’로도 불렸는데, 이는 원래의 ‘에미시’가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에조(えぞ)’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후대인 11세기~12세기의 일로, ‘에미시(えみし, 毛人, 蝦夷)’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주창되고 있지만, 모두 확실한 증거는 없다.
문헌적으로 가장 오래된 예는 毛人으로, 5세기의 倭王 武가 劉宋에 보낸 上表文에, “동쪽으로 에미시의 나라 55국을 정벌하고, 서쪽으로는 오랑캐의 무리 66국을 항복시켰다.”는 구절이 있다.
‘에조(蝦夷)’라는 표기를 쓰기 시작한 것은, 사이메이 덴노 5년(659년)의 遣唐使 파견 무렵의 일이라고 한다.
일본의 옛 노래에, “에미시는 혼자서 백 명을 감당한다 해도, 우리 군대에는 반항도 못 한다네.(えみしを 一人 百な人, 人は言へども 手向かいもせず.)”라는 구절이 있다.
아스카 시대의 權臣이었던 ‘소가노 에미시’처럼, 고대 일본인의 이름에도 ‘에미시’라는 말이 사용된 바가 있다.
‘에미시’는 일본어로 ‘강하고 용감하다’는 어감이 있어, 원래 나쁜 의미는 없었다고 한다. 이를 근거로, 비록 직접 그런 의미로 사용된 용례는 없으나, 에미시의 본래 의미는 ‘邊境 勇士(촌뜨기 武士)’였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후대에 에미시라는 단어가, 사람 이름으로 쓰이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 毛人으로 표기했다.
모인의 毛 즉 털이 무엇을 뜻하는지에 대해서도, 온몸에 털이 많다는 뜻으로 후세의 아이누와의 관련성에서 찾는 설과, 수염이 긴 것을 보고 ‘에비(えび, 새우)’에 빗대어 부른 것이라는 설이 있다.
중국의 지리서 山海經에 나오는 毛民國을 의식해, 中華(日本 本土)의 邊境을 뜻하는 글자로 선택했다는 설도 있다.
일본 학자 ‘긴다이치 쿄스케’는, ‘에미시’라는 단어가 아이누어에 어원이 있다고 생각해, 사할린 아이누어에서 인간을 뜻하는 ‘엔추(enchu, enchiu)’라는 단어를 일본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에미시가 되었거나, 혹은 아이누어의 古語였을 것이라 추정했다.
고대의 에미시는 혼슈 동부 및 북부에 거주하면서, 야마토인이 중심이 된 일본에 대해 정치적 복속을 거부한 집단이었다. 그들은 통일된 정치 체제를 수립하지는 못하고, 차례로 일본의 세력권에 포함되어 갔다.
적극적으로 朝廷에 접근하는 집단도 있었지만, 반대로 적대하는 집단도 적지 않았다. 이 에미시로 불리던 집단 가운데 일부는 ‘가즈토(和人)’, 나머지 일부는 중세의 에조 즉 아이누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에미시와 에조(아이누)는 서로 연속성이 있다고 여겨졌지만, 근대에 들어 도호쿠 지방에서, 야요이 시대의 벼농사 유적이 확인되면서, 에미시와 에조(아이누)는 인종상으로는 어떻든 민족적으로는 다르다고 보는 설이 유력하다.
‘에미시’는 야마토 조정 측에서 부른 3인칭 타칭으로, 에미시라 불리던 그들 스스로를 어떻게 자칭했는지 언급한 史料는 없다.
에미시에는 야마토와 같은 통일된 정체성이 없었다거나, 야마토 조정측과의 협상에서 민족 의식이 형성된 것으로 볼 것인지에 대해서는, 연구자들 사이에도 의견이 엇갈린다.
에미시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日本書紀 내용 중 ‘진무 천황’의 東征篇에 있는데, 거기서 읊은 노래 가운데 ‘에미시(愛?詩)’라는 제목의 노래가 있다.
“에미시는 홀로 백 사람을 맞는 강한 병사라 가로되, 사람이 많아도 저항 없이 몰락하고 말았네.(えみしを ひたりももなひと, ひとはいへども たむかひもせず.)”
그러나 진무 천황의 기술은 역사적 사실성이 떨어지므로, 에미시에 대한 기술와 해당 노래에 대해서도 신빙성이 높지 않다.
또 여기서 등장하는 아이누족이 후의 ‘에조(아이누)’을 의미하는지도 분명치 않아서, 에미시의 민족적 성격이나 거주 범위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고 분명한 것은 없다.
다만 대체로 간토 지방에서 도호쿠 지방, 홋카이도에 걸쳐 살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평시에는 모피, 말과 쌀, 포, 철 등을 교환하는 등 무역도 이루어졌지만, 간사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 야마토 조정은, 에미시가 사는 도호쿠 땅에 몇 차례 대규모 토벌군을 보냈으며, 잦은 전투가 벌어졌다.
5세기 중국의 역사서인 宋書 倭國傳에, 순제 승명 2년(478년) 왜왕 무가 劉宋에 보낸 上表文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있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께서는, 몸소 갑주를 두르고, 산천을 돌며, 편히 쉴 날도 없이, 동쪽으로 모인의 나라, 55국을 정벌하고, 서쪽으로 중이의 나라 66국을 복속시켰으며, 바다를 건너 북쪽으로, 95국을 평정하셨습니다.(自昔祖?, 躬環甲?, 跋?山川, 不遑寧處, 東征毛人, 五十五國, 西服衆夷, 六十六國, 渡平海北, 九十五國.)”
이 기록에서도, 이미 5세기에는, 에미시의 존재와 야마토 조정에 의한 지배가 진행되고 있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발굴 조사로, 고분 시대 전기의 가장 오래된 연대의 前方後圓墳의 북쪽 한계선은, 현재의 니가타현, 에치고 평야 중부 후쿠시마현, 아이즈 분지, 미야기현(宮城?), 센다이 평야라 여겨진다.
고분 시대 말기까지 북쪽 한계선은, 동해(일본해)쪽 바닷가에서는 거의 북진하지 않고, 오히려 주에쓰 지방까지 후퇴한 데 반해, 동해(일본해)쪽 내륙에서는 야마가타현(山形?), 무라야마 지방 중부까지, 태평양 쪽에서는 이와테현, 타카미 분지 남부까지 북진했다.
日本書紀 사이메이 천황 원년(655년) 7월 11일조에는, ‘나니와쿄(難破京)’의 조정에서, 북에미시 99명과 동에미시 95명을 饗應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여기서 북쪽과 동쪽은 각각 ‘호쿠에쓰(北越)’, ‘히가시미치노쿠(東陸奧)’라는 주석이 있는데, 북쪽은 ‘고시 국(越國)’, 동쪽은 ‘무쓰 국(陸奧國)’의 방향이다.
고시는 실제로는 무쓰 서쪽에 위치하지만, 수도에서 보아 북쪽에 위치하므로 북에미시로 분류하고, 이는 당시 에미시 양대 집단으로 나뉘어 있었다는 뜻이 아니라, 응대 실무를 맡았던 구니의 관할 방위에 따라 조정이 분류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구별은, 나중에 ‘데와 국’과 ‘무쓰 국’의 관할이 되면서, 헤이안 시대까지 답습되지만, 표기는 고대 중국의 단어로 북방 이민족을 가리키는 북적으로 바뀌어 ‘에미시(蝦狄)’이라고도 쓰게 되었다.
에미시의 생활을 동시대 사람이 정면에서 설명한 것으로, 사이메이 천황 5년(659년)의 遣唐使 ‘이키노무라치 하카토코’와 당 고종의 문답이 日本書紀에 실려 있다.
여기에 보면, 야마토 조정에 매년 入朝하는 ‘니키에미시(순한 에미시)’가 야마토와 가장 가깝고, 다음으로 ‘아라에미시(?蝦夷)’, 그리고 가장 멀리 있는 것이 ‘쓰가루(都加留)’라고 대답하고 있다.
‘이키노 하카토코’는, 에미시가 농사도 지을 줄 모르고 집도 짓지 않고 나무 밑에 산다고 서술했지만, 사료에 보이는 다른 기술이나 현재의 고고학적 지식과도 모순되는 것으로, 에미시를 야만인으로 과장하기 위한 창작으로 보인다.
신빙성 없는 이 설명에서 확실히 알 수 있는 것은, 에미시 가운데 쓰가루라 불리던 집단은, 그들의 고유 이름을 떨칠 정도의 유력 집단으로 존재했다는 것이다.
7세기 ‘아스카 시대(飛鳥時代)’, 에미시는 지금의 미야기 현 중부에서 야마가타 현 북쪽의 도호쿠 지방과, 홋카이도 대부분에 걸치는 넓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사이메이 천황 4년(658년)에 ‘아베노 히라후(阿倍比羅夫)’가 水軍 180척을 이끌고 에미시를 토벌하였다.
야마토 정권의 지배영역이 북쪽으로 확대되면서, 차츰 방위를 위한 전쟁 등으로 조정과 충돌하기 시작했고, 가즈토가 쌓은 목책을 넘어 습격하기 시작했다.

-하략-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