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문과급제자 연구
필자는 이 논저를 통하여 10명 이상 문과 급제자를 배출하는 4.44%의 본관을 ‘주요성관’(199개/ 4,477개 성관 중)이라 보고 이들 성관에서 90.86%인 12,878명을 차지하고 있고, 서울 거주 출신들의 급제율은 45.93%(5,395명)나 차지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1789년 기준 서울인구는 18만 9천 여 명으로 당시 2.55%임을 감안하면, 소수의 주요성관과 서울 출신 성관들이 당시 지배층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그 편중성이 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신분제 사회였던 고려조와 조선왕조를 <한국중세사로>로 강의하면서 신분제 사회에 대한 관심을 일찍이 가져왔던 필자로서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의 본관(성관) 분석을 통하여 구체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즉 문벌귀족사회인 고려조와 양반관료제사회였던 양시대의 변화상과 동질성을 아울러 설명하는데 문과급제자의 본관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향후 ‘전통과 변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엄존하고 있는 현 한국사회의 문제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 크다고 본다(총 8편의 기존 발표한 논문을 90여 표와 함께 4장으로 엮은 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