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대중문화] [단독] 생각의 공간
허정원 저
북스톤 2024-10-24 YES24
“창의성이라는 욕구를 다루는 일을 합니다”20년 차 디자이너의 생각 기록 창의성은 특별한 사람들만의 전유물일까? 일하는 사람, 아니 모든 사람의 일과 삶에서 창의성은 빠질 수 없는 화두다. 창의성은 과연 타고나는 것일까, 아니면 배울 수 있는 것일까? 어떻게 해야 더 창의적인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을까? 『생각의 공간』은 이러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디자이...
[예술/대중문화] 내 인생을 빛내줄 스마트폰 사진
담이 글사진
빌리버튼 2024-08-23 YES24
17만 구독자가 선택한 포토그래퍼 ‘담이’가 알려주는감각적으로 사진 찍고, 매력적으로 보정하는 9가지 방법!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우리는 손쉽게 셀카, 가족, 연인, 풍경, 명소, 음식 등 하루에도 몇 십장씩 사진을 찍고 동영상을 촬영합니다. 하지만 다시 보면 마음에 들거나 기억에 남는 사진은 몇 장 되지 않습니다. 일상을 빛내줄 사진을 찍는 방법은 생각보다 ...
[예술/대중문화] 연기과 1학년
박성호 저
유페이퍼 2024-04-17 YES24
이 책은 연기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 아니다.<br />필자는 그럴 자격도, 실력도 아직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br /><br />단지, 배우가 되기로 마음먹은 20살의 내가 작품에 참여하고 연기과에 들어가면서 만들어나간 이야기 이다.<br /><br />지난 1년동안의 이야기 이기에, 길지는 않지...
[예술/대중문화] 왕과 귀족이 사랑한 공예품
김익규 저
얼룩소 2024-03-04 YES24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방문하면 화려하거나 특이하게 생긴 공예품들이 우리를 맞이해 줍니다. 가끔 뉴스에서도 공예품과 관련된 이슈를 전달해 두기도 하지요. 이렇게 소개되는 공예품들을 접하면, 무의식적으로 “가치 있다”라는 생각을 하게됩니다.그런데 가치 있다는 생각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요? 왜 많고 많은 공예품 중에 몇몇만 선별되어 전시되는 걸까요? 그렇다면 똑...
[예술/대중문화] 이건 드로잉이 아니래요
이상홍, 류병학 저
케이에이알 2023-12-23 YES24
이상홍의 ‘조형드로잉’과 ‘몽블랑드로잉’류병학 미술평론가내가 이상홍 작가의 작품을 처음 본 것은 2018년 우민미술관의 카페에 마련된 프로젝트 스페이스 우민에서 열린 그의 개인전 『라라랜드를위한나라는없다』에서다. 당시 그는 크게 두 가지 형식의 작품들을 선보였다. 하나는 피규어 장난감과 각종 오브제 그리고 회화와 드로잉을 접목한 독특한 일명 ‘조형드로잉’이...
[예술/대중문화] 조선 미술관
탁현규 저
블랙피쉬 2023-04-14 YES24
“세상에 없던 전시회, 조선 미술관으로 당신을 초대합니다.”풍속화와 궁중기록화로 만나는 조선의 특별한 순간들문화 절정기 조선의 풍속화와 궁중기록화를 한 권에 담아낸 전무후무한 책의 탄생! 기획하는 전시마다 대박을 터트리고 매 강연 청중의 감탄을 자아내는 고미술 최고 해설가 탁현규의 신간 『조선 미술관』이 출간되었다. 신윤복, 정선, 김홍도를 비롯한 조선의 ...
[예술/대중문화] 자연스러운 인체 드로잉
소은 박경선 저
동양북스(동양books) 2023-03-28 YES24
‘클래스101’ 인체드로잉 클래스 수강 만족도 98 인체를 자유롭게 그릴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핵심 강의인체를 배울 때도 순서가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자연스러운 인체 드로잉』은 오랜 기간 사람을 그려온 저자가 효율적으로 인체를 배우는 순서를 안내하는 책이에요. 가장 기초적인 선 연습을 충분히 하면, 지금부터가 진짜 시작이에요! 첫 번째는 인체의 구조와 도...
[예술/대중문화] [단독] 그림이 나에게 말을 걸다
김선현 저
허밍버드 2023-01-26 YES24
국내 트라우마 미술치료 최고 전문가,그림과 언어로 마음을 치유하는 김선현 교수의사랑의 이해가 필요한 모든 순간, 당신에게 건네는 그림의 위로“눈길이 머무는 그림이 있나요?마음에 점검이 필요하다는 신호입니다.”이제 막 사랑을 시작한 나와 여전히 사랑이 어려운 너에게 건네는 따뜻한 그림 이야기 『그림이 나에게 말을 걸다』가 출간되었다. 그동안 베스트셀러 『그림...
[예술/대중문화] 시나리오 사랑해서 미안해
박장규 저
유페이퍼 2022-06-29 YES24
가슴 저리도록 슬픈 이야기. 인간이 선하게만 태어난다면 악마란 존재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아울러 천사란 존재에 대해서도 생각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모두 본능적으로 천사와 악마에 대해 생각한다. 그렇다면 인간의 본성은 과연 착할 것일까? 아니면 악할 것일까? 보리가 오랫동안 친구관계를 유지해온 영식을 따라 캠퍼스 뒷산으로 간다....